반응형

150

<정체성 수업>, 로버트 프리츠&웨인 스콧 엔더슨

1장 정체성 결국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전략은 두 가지다. 하나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실제로 해낼 수 있는 능력, 수용력, 경험을 계발하는 것이다. 믿음 대 능력을 비교해 보면 거의 언제나 능력이 승리한다. 그도 그럴 것이 능력은 허구나 신념, 확신이 아닌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믿음과 능력은 별개로 존재하며,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모든 경우의 쌍은 다음과 같다. 긍정적 신념 - 높은 능력 부정적 신념 - 높은 능력 부정적 신념 - 낮은 능력 긍정적 신념 - 낮은 능력 이 중 마지막 카테고리는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연구 덕분에 유명해졌다. 자신의 능력을 좋게 평가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이 충분히 계발되어 있지 않다고 ..

책/자기 계발 2023.12.12

<아웃풋 법칙>, 렘군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들어가며 소비자의 삶에서 생산자의 삶으로 ‘아웃풋output’이란 무엇? 아웃풋의 사전적 정의는 ‘원자재, 노동력 따위의 생산 요소를 투입하여 만들어낸 재화나 서비스’다. 나는 이를 조금 더 확장해 이해. 내가 인생 전체에서,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사용하는 아웃풋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셀 전체 선택 열 너비 조절 행 높이 조절 타인을 위해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콘텐츠 등의 결과물, 세상과 연결되도록 노력하는 행위 또는 그러한 시간 및 산출물. 셀 병합 행 분할 열 분할 너비 맞춤 삭제 이때 방점은 ‘타인을 위해, 세상과 연결되도록’이다. 단순한 산출물 혹은 결과물이 아니라 ‘타인’과 ‘세상’이라는 ..

책/자기 계발 2023.10.06

<독서의 기록>, 안유진

프롤로그 _ 도서 블로그 1년 만에 인생이 변했다 Part 1. 흔들리는 인생, 좌충우돌 시간을 갖다 내가 가진 타이틀 : 진짜 나인가? 넥스트 직업 찾아 삼만 리 : 직장은 믿을 곳이 못 되니까 잦은 실패에도 불구하고 나는 쉽게 좌절하지 않았다. 넥스트 직업을 갖기 위한 좌충우돌 과정이 나를 찾는 방법인 줄 알았기 때문이다. 도전은 습관에 가까웠다. 쉽게 도전할 수 있는 선까지만 실행하고 정작 그 이후에 해당 분야로 쌓아야 할 노력은 하지 않았다. 이 직업, 저 직업 기웃거리는 습관이 번아웃을 대하는 잘못된 방향이라는 건 독서를 시작하고서야 알게 되었다. (31) 돈이 돈을 번다는 재테크 : 하면 될 줄 알았는데 관계의 번아웃 : 나 빼고 다 이상해 독서를 시작한 이유 중 하나는 변하고자 하는 절실함 ..

책/자기 계발 2023.10.05

<기록하기로 했습니다>, 김신지

Prologue 기록하는 사람이 되는 기적을 위하여. 기록하는 법, 첫 번째. 일기를 쓰기로 했습니다. 우리가 매일을 기록해야 하는 이유. #매일의일기 당신의 오늘은 잘 기억되고 있나요. #5년다이어리 매일 쓰는 사람이 되기 위한 팁. #습관만들기 1) 목표는 가능한 한 작게 만들기 2) 그 행동을 더 쉽게 할 수 있는 환경 만들기 3) 신호와 보상 만들기 아시다시피 습관 만들기의 기본 원칙. 어떤 행동을 하는 ‘시작 신호’를 만드는 것, 그리고 그 행동을 했을 때 나에게 좋은 보상을 주는 것. 시작 신호는 ‘매일 밤 11시에 일기를 쓰겠다’처럼 시간으로 정할 수도 있고, ‘샤워하고 난 뒤에 쓰겠다’처럼 특정한 행동으로 정할 수도 있어요. 저는 ‘자기 전’이라는 시작 신호를 생각했고, 보상은 사실 일기를..

책/에세이 2023.09.15

<의사에게 살해당하지 않는 47가지 방법>, 곤도 마코토

[시작하는 글] 문제는 ‘병’이 아니라 ‘치료법’이다 PART 1 의사가 병을 만들고 환자를 만든다 01 환자는 병원의 ‘봉’이 아니다! 02 병원에 자주 가는 사람일수록 빨리 죽는다 03 노화 현상을 질병으로 봐서는 안 된다 04 ‘혈압 130’은 위험 수치가 아니다 05 혈당치를 약으로 낮추면 부작용만 커진다 06 콜레스테롤 약으로는 병을 예방할 수 없다 07 암 오진이 사람 잡는다 08 암의 조기 발견은 행운이 아니다 09 암 수술하면 사망률이 높아진다 10 한 번의 CT 촬영으로도 발암 위험이 있다 11 의사를 믿을수록 심장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 PART 2 병을 고치려고 싸우지 마라 12 3종류 이상의 약을 한꺼번에 먹지 마라 13 감기에 걸렸을 때 항생제 먹지 마라 14 항암 치료가 시한부 인..

책/한의학 2023.09.14

<쏘팟의 하나만 빼고 다 먹는 다이어트>, 이동훈

프롤로그 물만 먹어도 살찌는 체질에서 숨만 쉬어도 살 빠지는 체질로 이론편: 먹어도 살 안 찌는 음식의 비밀 1장 당신이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이유 칼로리 계산은 통하지 않는다 저염식이나 무염식은 절대 금지 소금, 하루에 얼마나 먹어야 할까? 지방이 원활하게 연소되기 위해 필요한 나트륨의 최소 요구량은 1500mg이다. 또한 위암과 뇌혈관 질환 발생을 감소시키고, 적정 혈압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나트륨 용량은 2300mg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고 나트륨 섭취량을 매번 계산해 가며 먹을 필요가 없다. 우리 몸에는 최첨단 계산기보다 더 훌륭한 나트륨 감지기가 존재하는데, 바로 입속의 ‘혀’다. 필자가 권장하는 소금의 적정 섭취량은 ‘밥 없이 먹어도 될 정도의 적당한 간’이다. 밥 없이 먹는 소고기..

책/한의학 2023.09.13

<두 여자 이야기><송생만>, 송아람

e-book으로 본 송아람 작가님의 책 2권 두 여자 이야기는 82년생 김지영 책처럼 대구와 서울, 동갑인 두 여자의 이야기다 원가정에서 딸의 역할과 결혼과 출산으로 인해 생활이 달라지는 여자의 인생 송아람 작가님과 친구의 실제 이야기가 혼합되고 각색된 스토리 그림이 참 멋지다 송생만은 송아람 작가님의 실제 생활과 더욱 밀접해 보이는 리얼리즘(?) 만화 엄마이자 만화가인 작가님의 일상을 엿볼 수 있어서 재밌었고 특유의 쿨한 멘트들이 공감이 많이 되었다 나도 이런 만화를 그려보고 싶다

책/페미니즘 2023.09.08

<혼자를 짓는 시간>, 김헤니 황예

정해진 틀에서 벗어나 숨을 쉬어보기 - 신유정 (요가 강사) Q) 사회는 돈과 명예에만 가치를 부여하는데, 진로 선택에 있어서 겁먹고 있는 20대 친구들한테 해주고 싶은 말이 있을까요? A) 내가 어떤 일을 하느라 밤을 꼴딱 샜는데 다음 날 눈빛이 살아있는지 한번 살펴보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그 질문을 자기한테 꼭 던져봤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1~2년이 지나고 그 질문을 똑같이 던졌을 때 눈빛이 흐리멍덩하고 뇌도 마음대로 돌지 않는 것 같고, 정신이 점점 좀먹고 있는 상황인 것 같다 싶으면 멈춰봐야죠. 시간이 지나 되물어보는 일도 정말 중요해요. 요가계에서도 일을 하면 할수록 눈에서 빛이 사라지는 경우를 본 적이 있어요. 기계의 부속품같이 쓰이다 필요 없으면 버려지는 거죠. 그럴 때 내 눈빛이 살아 있는..

책/에세이 2023.09.07

<저는 부모님을 요양병원에 모시려고 합니다>, 김영맘

프롤로그 요양병원에서의 삶은 어때요? 4 제 1장 生老病師와 함께한 일상 생존자 13 애기 엄마 17 백 살의 노래 22 미래를 걱정한다는 것은 어쩌면 현재 이 시간과 이곳, 이 사람들에게 소홀했기 때문에 생기는 마음일지도 모른다. 지금을 즐기며 나의 일을 사랑하고 소중한 사람들과 행복하게 살겠다고 오늘도 다짐한다. 엠마오로 가는 길 26 소녀, 아줌마 그리고 할머니 31 어느 노병 이야기 35 개미와 베짱이 39 레위시아의 눈물 43 동행 48 병동의 예술가 53 코로나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58 제 2장 生老病師와 관한 고찰 상수의 비밀 65 강한 여자가 아름답다_장비 할머니 70 강한 여자가 아름답다_원더우먼 할머니 77 할머니의 보호자 81 즐거운 촌지 87 따뜻한 커피 한 잔 92 예쁜 치매..

책/에세이 2023.09.06

<인생을 숙제처럼 살지 않기로 했다>, 웃따

프롤로그 울고 싶을 때마다 애써 웃는 당신에게 결핍은 다 채울 수 없지만 결핍 때문에 생긴 중독은 고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결핍을 그대로 인정하고 품은 채,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을 느끼실 겁니다. 가면성 우울 체크리스트 Part 1. 다른 사람이 되려 애쓰지 않기로 했다 처음 가면을 벗던 날 아파할 수 있는 것은 힘입니다. 아픈데 안 아픈 척하거나 아픈 것을 모르고 살아가면 속에서 큰 병이 돼요. 아파하는 자신을 본다는 건 용기입니다. 무너지는 가슴을 부여잡고 약이라도 먹으면서 그 시간을 버텨낼 수 있는 건 그 사람이 그만큼 힘이 있다는 거예요. 세다가 그걸 주변에 알릴 수 있다면 진짜 슈퍼맨 급의 힘이고요. 죽으려고 올랐던 육교, 꽃길이 되다 가장 깊숙이 감춰두었던 상처, ..

책/심리학 2023.09.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