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리학 14

나는 왜 내 마음이 버거울까?, 유영서

나는 왜 내 마음이 버거울까? Chapter 1. 내 안에 대한 이야기 막연히 불안한 기분을 없애고 싶어요 ─ 적당한 불안으로 마음 지키기 지난 일을 쉽게 떨치지 못하겠어요 ─ 트라우마를 물리치기 위한 세 가지 연습 ‘잊히지 않는 일’이 주는 그 자체의 데미지와, 이차적으로 발생한 재경험과 반추, 과도한 불안과 각성, 그리고 회피와 같은, 어쩌면 자신을 지키려는 절실한 행동들이 다시 돌아와 우리의 잔잔한 일상을 무너뜨린다는 것이 꽤 아이러니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저는 과거의 나쁜 일로 인해 앞서 말한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로 지지하려는 편입니다. “당신의 몸은 자신을 잘 지키려 애쓰고 있네요.” 물론 ‘잊히지 않는 일’을 되새기거나 회피하는 게 당신에게 실제로 어떤 도움이 ..

책/심리학 2024.01.09

<정체성 수업>, 로버트 프리츠&웨인 스콧 엔더슨

1장 정체성 결국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전략은 두 가지다. 하나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실제로 해낼 수 있는 능력, 수용력, 경험을 계발하는 것이다. 믿음 대 능력을 비교해 보면 거의 언제나 능력이 승리한다. 그도 그럴 것이 능력은 허구나 신념, 확신이 아닌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믿음과 능력은 별개로 존재하며,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모든 경우의 쌍은 다음과 같다. 긍정적 신념 - 높은 능력 부정적 신념 - 높은 능력 부정적 신념 - 낮은 능력 긍정적 신념 - 낮은 능력 이 중 마지막 카테고리는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연구 덕분에 유명해졌다. 자신의 능력을 좋게 평가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이 충분히 계발되어 있지 않다고 ..

책/자기 계발 2023.12.12

<우울해방일지>, 이명수

프롤로그 Ⅰ. 무기력과 우울 해야 할 것은 있지만 의욕이 하나도 없어요 ▷ 해야 하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을 구분하세요. 하고 싶은 일을 해야 하는 일로 만들지 마세요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내 앞에 놓여 있는 것들을 ①해야 하는 것과 ②하고 싶은 것으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목록에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이며,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한 번 생각해 보고 나열해보세요. 정신건강에 가장 좋은 상황은 해야 하는 일이 적고 하고 싶은 일이 많은 것입니다. 해야 하는 것은 말 그대로 해내야 되는 것입니다. 그것도 잘 해내는 것이 좋습니다. 영어로 ‘I must do it’, ‘I should do it’이라는 목적성이 부여되는 일이죠. 그런데 그게 너무 많거나 과도하면 스트레스..

책/심리학 2023.08.22

<검은 감정-2>, 설레다

3rd PATH. 불안에서 오는 검은 감정 번아웃 나의 한계만큼 온 힘을 다하는 게 최선, 그 한계를 넘어서서 스스로 과부하를 일으킨 상태가 집착. 번아웃은 최선이 집착이 됐음을 모른 채 지낸 결과이기도 하다. 결국 중요한 것은 나의 한계를 아느냐, 모르느냐이다. 어디까지가 한계인지를 스스로 명확하게 집어내기란 쉽지 않음. 게다가 최선과 집착은 구분하기 어려울 만큼 밀접한 거리에 있음. 이를 구분하기 위해선 감수성, 즉 자기 감정을 읽어내는 힘을 키우는 게 큰 도움이 됨. 일을 위해 쉬는 것도 아니고 쉼을 위해 일을 하는 것도 아님. 하나를 위해 다른 하나가 존재하는 게 아니라, 둘 다 삶에 무척 중요한 요소. 어느 하나에만 치우쳐 다른 부분이 심하게 부족해지면 마음과 몸에 이상 신호가 온다. 그런 신호..

책/심리학 2023.08.09

<감정이 아니라고 말할 때>, 성유미

서문 사는 게 왜 이리 재미없을까? 제1부 감정에 대한 오해를 풀어라 감정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하며 감정적인 사람에겐 정작 자기 감정이 없다 감정적으로 행동하지 마!: 감정을 부정하는 사회 감정은 버튼이 아니다: 해결책 없는 심리학의 감정 과잉 간섭 감정(주로 분노, 화) 버튼을 너무 많이 누르는 아버지를 보고 자란 B 씨는 자신의 감정 버튼을 다른 방식으로 계속 눌러 왔다. 감정 조절이 전혀 되지 않았던 아버지를 이해하기 위해 심리학을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B 씨는 중학교 때부터 거의 전문가 수준으로 심리 서적을 탐독해 왔다. 그러면서 아버지의 분노 심리와 성격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애를 많이 썼다. 그런데 이러한 ‘이해를 위한 노력’은 B 씨 본인에게는 독이 되었는데, 아버지에 대한 심리적 이해가 쌓..

책/심리학 2023.03.16

<나는 왜 나를 함부로 대할까>, 문요한

프롤로그: 스스로 가혹하게 대하고 후회하는 당신에게 1장 자기에게 말 걸기 나는 왜 나를 이렇게 대하는가? 1. 아무것도 안 하는 꼴을 못 본다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을 때에는 어무것도 하지 않아도 된다. 지나치지만 않는다면 그 시간은 고스란히 휴식이 된다. 애쓰지 않는 시간이 있기에 하고 싶은 것도 생길 수 있고, 해야 하는 것도 해나갈 수 있다. 그렇게 보면 의미 없는 시간은 없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조차 무언가를 한 것이다. 자기를 착취해 가면서까지 해야 할 중요한 일은 세상에 없다. (22) 2. 그녀가 칭찬을 못 받아들이는 이유 칭찬을 사양하는 것은 겸손이 아니다. 칭찬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들은 자기를 칭찬할 줄도 모른다. 받을 자격이 없는데 어떻게 줄 수 있겠는가. 자기의 좋은 점을 인정..

책/심리학 2023.02.28

<오랫동안 내가 싫었습니다>, 오카 에리

prologue 일곱 개의 스위치를 찾기까지 나와 내 병에 대해 > 첫 번째 스위치 : 청소를 한다 내가 너무 싫었다 귀가하면 곧장 침대 속으로 어느새 쓰레기 더미가 돼버린 집 청소해서 뭐 해? 그러고 보니, 요즘 통 웃지를 않았네 우선 ‘한 곳을 10초 치우기’부터 물건 버리는 법을 모르겠어 청소를 해내자 자신감이 생겼다 ☞ ‘10초 청소’ > 두 번째 스위치 : 옷차림을 바꾼다 자기부정의 버릇 나를 용서하지 못하면 타인에게 엄격해진다 해낸 일에 주목하자 “머릿속에 경찰관밖에 없으면 결국 유죄가 되기 쉽잖아. 다른 캐릭터를 하나 더 만들어보면 어때?” “그게 무슨 말이야?” “늘 칭찬해주는 존재가 머릿속에 있으면 더 좋겠지만, 에리 네 성격에 갑자기 칭찬하는 캐릭터를 만들기도 쉽지 않을 테니까 최소한 ..

책/심리학 2022.12.31

<받아들임>, 타라 브랙

1. “나는 세상에 존재할 가치가 없다” 불안을 오히려 강화하는 우리의 습관적 전략들 : 우리는 무가치함이라는 원초적 고통을 피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한다. 자신의 결함이 자신이나 남에게 노출될 때마다, 우리는 추방당한 아담과 이브처럼 벌거벗은 몸뚱이를 가리려고 초조하게 반응한다. 우리 각자는 결점을 감추고 우리에게 있다고 믿는 잘못을 벌충하기 위한 특별한 전략들의 조합을 개발하는 데 많은 시간을 들이고 있다. 끊임없이 자기개선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우리는 완벽한 몸과 용모에 대한 대중매체의 기준을 만족시키려고 흰머리를 염색하고, 주름을 제거하고, 끊임없이 다이어트를 시도한다. 직장에서는 더 좋은 직위를 얻기 위해 자신을 밀어붙인다. 훈련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명상을 하고, 목록을 작성하고..

책/철학 2022.11.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