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책/사회학 2

<돈 말고 무엇을 갖고 있는가>, 정지우

1부․ 삶의 단계들을 지나1. 시작의 노하우사전 준비는 필요하지 않다시도할 용기하루 30분의 법칙상승과 하강의 리듬2. 중간의 법칙중간의 지옥을 건너기-삶에서는 어떤 일이 과연 내게 어울리는가, 이것이 나의 일이나 나의 길인가, 내가 올바른 선택을 했는가를 알기 어렵고, 그래서 늘 선택의 고민에 빠지게 된다. 그런데 어떤 일이든 중간의 지옥을 지나보지 않으면, 그 일이 나에게 어울리는지 아닌지조차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적어도 중간의 지옥을 지나고 나서, 그것이 만들어내는 결과나 반응 속에서, 이 일이 내게 어울리는 것이었는지 아닌지도 비로소 알게 된다. 어떤 일을 시작조차 하지 않으면 물론이거니와, 중간의 지옥을 지나지 않고서는 내 삶에 가장 어울리는 방식들을 찾아낼 수 없다. 그래서 나는 모든 일..

책/사회학 2024.11.21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강지나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들어가며 “미래를 생각하면 정말 어두워요” 우울을 견디는 삶, 소희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고 자기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힘을 역량이라고 한다면, 소희는 학력 결손이나 경제적 궁핍보다는 이 역량을 발휘해야 할 장면을 훨씬 더 어려워했다. 내면의 힘이 약하기 때문에 역량을 발휘하기 버거운 것이다. 그렇다면 역량, 혹은 자립은 어떻게 가능한가? 소희는 역량이 약한 상태에서 어떻게 대학 입학과 자격증의 관문을 뚫었는가? 소희에게는 검정고시를 준비할 때 도움을 준 친구가 있었고, 대학 입시를 물심양면 도와준 사회복지사와 복지관도 있었다. 즉, 자신을 믿고 손을 내밀어주는 사람들, 관계망이 있었던 것이다. 사람이 힘을 내고 노력을 하는 데는 혼자만의 결심과 성취 욕구만..

책/사회학 2024.02.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