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성 3

<감정이 아니라고 말할 때>, 성유미

서문 사는 게 왜 이리 재미없을까? 제1부 감정에 대한 오해를 풀어라 감정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하며 감정적인 사람에겐 정작 자기 감정이 없다 감정적으로 행동하지 마!: 감정을 부정하는 사회 감정은 버튼이 아니다: 해결책 없는 심리학의 감정 과잉 간섭 감정(주로 분노, 화) 버튼을 너무 많이 누르는 아버지를 보고 자란 B 씨는 자신의 감정 버튼을 다른 방식으로 계속 눌러 왔다. 감정 조절이 전혀 되지 않았던 아버지를 이해하기 위해 심리학을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B 씨는 중학교 때부터 거의 전문가 수준으로 심리 서적을 탐독해 왔다. 그러면서 아버지의 분노 심리와 성격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애를 많이 썼다. 그런데 이러한 ‘이해를 위한 노력’은 B 씨 본인에게는 독이 되었는데, 아버지에 대한 심리적 이해가 쌓..

책/심리학 2023.03.16

<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 박찬국

(273쪽) 1부 사는 게 고통이다 17세에 염세주의자가 된 철학자, 쇼펜하우어 어떤 일이 우리 뜻대로 풀리지 않을 때 우리는 고통을 느낀다. 그러나 쇼펜하우어는 설령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도 인생은 고통이라고 본다.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지면 우리는 평온한 행복감을 느끼기보다는 오히려 권태를 느끼게 된다. 우리는 종종 무엇 하나 부족함이 없을 것 같은 유명 인사들이 마약이나 도박 혹은 성추행이나 성폭력 등으로 언론에 오르내리는 것을 본다. 사람들이 이렇게 한순간에 추락하는 근본적인 원인 중의 하나는 권태다. 이들은 권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언가 자극적인 것을 찾아 나선 것이다. 평범한 사람들이 충족되지 않는 욕망에 시달린다면, 넘쳐 나는 부 때문에 아무런 걱정도 없을 것 같은 사람들은 권태에 시달..

책/철학 2022.03.16

<강신주의 감정 수업>, 강신주

(519쪽) 이미 대중철학자로 유명한 강신주 철학박사의 책 스피노자의 48개 감정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세계문학과 연결지어 풀어냈다 프롤로그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내 마음을 채우고 있는 감정을 표현하는 순간, 엄청난 불이익이 나의 신상에 몰려올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본능적으로 알고 있지 않은가. 이런 위험을 피하기 위해 감정들을 미리 교살하는 것이 좋고, 그것도 여의찮다면 감정이 얼굴빛이나 행동에 나타나지 않도록 숙련해야만 한다. 감정을 죽이는 것, 혹은 감정을 누르는 것은 불행일 수밖에 없다. 살아 있으면서 죽은 척하는 것이 어떻게 행복이겠는가. 그러니 다시 감정을 살려내야만 한다. 이것은 삶의 본능이자 삶의 의무이기 때문이다. (17) 감정은 용수철과 같다. 누르면 누를수록 더 큰 반발력을 갖기..

책/심리학 2022.03.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