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이트 2

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 변지영

머리말 _ 100년이 지난 지금, 왜 아들러인가? 6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핵심 개념인 ‘무의식’에 대해 정면 도전하면서 “성격 형성에 있어 중요한 것은 무의식이 아니라 우리가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사회현상”이라고 주장했다. 아마도 그가 이렇게 ‘의식’의 차원만을 다뤘기 때문에 ‘개인 무의식’의 개념을 정립한 프로이트와 ‘집단 무의식’의 개념을 추가해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한 칼 융에 비해 아들러의 연구가 심리학계에서 그다지 높게 평가받지 못하는 것 같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같은 이유로 미국에서는 그의 논리가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자유의지는 없다”고 단정했던 프로이트의 결정론적 인과론이 아니라 자유론적 목적론의 시각을 내세웠던 아들러는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 것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라고 주장했으며 ‘목..

책/심리학 2023.03.17

<꿈의 해석>, 프로이트

제1장|꿈에 관한 학문적 성과들 꿈의 자극과 출처 꿈과 자극과의 관계는 ‘우연하게 그렇게 되는 관계’이지 ‘특별하게 그렇게 되는 관계’는 아니다. (40) 꿈의 내용을 착각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시각과 청각이다. (43) 꿈의 심리학적 특수성 꿈은 왜 망각되기 쉬운가? 대부분의 꿈들은 무질서하며 이해하기 어려워, 곧잘 잊혀진다. (49) 꿈엔 어떠한 심리적 특성이 있는가? 꿈의 주요한 특성 중 하나는 깨어 있을 때와 달리 ‘형상으로 사고한다’는 데 있다. 개념으로 사고하는 낮 동안의 의식과 이것은 매우 다르다. (52) 꿈에서의 윤리적 감정 학문이나 계산상의 착오 같은 것은 예외지만 선과 악, 정의와 불의, 미덕과 패륜 같은 구분은 꿈속에서도 사라지지 않는다. 깨어 있는 동안 겪은 대..

2022.04.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