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워라밸 4

<요즘 것들의 사생활 : 먹고사니즘>, 요즘사

prologue 들어가는 말 하나의 명함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우리의 먹고사니즘 | 요즘 것들은 무엇을 꿈꾸고, 왜 일하고, 어떻게 먹고살까? | 나다운 일을 찾아, 나답게 자립하고 싶다면 episode 01 서른의 퇴사, 1년간의 직업 실험 _ with 김가현 ▷ 나에게 맞는 일을 좀 찾은 것 같나요? : 직업 실험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진짜 나답지 않은 일을 했을 때 더 많이 성장하고 가능성이 열리고 더 많은 영감을 얻었다는 것. (38) ▷ 어떤 것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먹고살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건 좋지만, 그걸 계속하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도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혹시 그런 부분에서 구체적인 계획이 있나요? : 지금 단계에서 나는 지속 가능한 수익을 만들게 아니라 지속 ..

책/자기 계발 2023.08.20

<우리는 아직 무엇이든 될 수 있다>, 김진영

(259) 구독중인 동영상을 보고 책까지 읽게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jP0SR0ZMHw Prologue. 트랙에서 내려오던 날 실제로 오랫동안 나는 번아웃을 겪는 사람들, 일과 삶의 속도를 조절하려고 하는 사람들, 일의 방향과 의미에 대해 자주 번민하고 고민하는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했다. 일을 덜 사랑하기 때문에 자꾸 생각이 많아지고 고민이 생긴다고 치부해버리곤 했다. (13) 그랬던 나에게 무거운 번민과 어두운 의심이 몰려왔다. 일하는 마음의 불꽃이 ‘꺼진’ 게 맞는지, 왜 꺼진 건지, 어떻게 하면 다시 불꽃이 붙는지, 꺼진 상태를 뭐라고 생각해야 하는지, 이 시간이 지나가기는 하는 건지, 내가 나아질 수는 있는 건지, ‘나아진다는 것’은 무엇에서 무엇으로..

책/자기 계발 2022.06.29

<삶으로서의 일>, 모르텐 알베크

(221쪽) 서장: 왜 우리는 행복하지 않을까 만족, 행복, 의미의 차이 만족이란 욕구의 충족. 내 욕구가 충족되면 나는 만족한다. 기대하는 것이 있는데 그 기대가 실현되면 만족감이 든다. (ex. 사과를 원하는데 사과를 손에 넣으면 만족) 경영진들은 다양한 복지 혜택으로 직원들을 만족시켜 출근을 좀 더 견디기 쉽게 만들어줄 수는 있겠지만, 그로 인해 삶에 기쁨이 주입된다고 주장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만족은 그런대로 괜찮은 출발점이 될 수는 있지만, 주로 만족에만 기초해서 삶을 살려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행복은 순간적으로 모든 것이 아름답게 맞아 들어가는 경험이다. 그러나 이 지극한 기쁨은 금방 사라질 절정이다. 행복이라는 경험은 일상이나 단조로움과는 정반대의 것이기 때문에 늘 행복하다는 것은 불..

책/자기 계발 2022.03.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