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왜곡 2

<꿈의 해석>, 프로이트

제1장|꿈에 관한 학문적 성과들 꿈의 자극과 출처 꿈과 자극과의 관계는 ‘우연하게 그렇게 되는 관계’이지 ‘특별하게 그렇게 되는 관계’는 아니다. (40) 꿈의 내용을 착각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시각과 청각이다. (43) 꿈의 심리학적 특수성 꿈은 왜 망각되기 쉬운가? 대부분의 꿈들은 무질서하며 이해하기 어려워, 곧잘 잊혀진다. (49) 꿈엔 어떠한 심리적 특성이 있는가? 꿈의 주요한 특성 중 하나는 깨어 있을 때와 달리 ‘형상으로 사고한다’는 데 있다. 개념으로 사고하는 낮 동안의 의식과 이것은 매우 다르다. (52) 꿈에서의 윤리적 감정 학문이나 계산상의 착오 같은 것은 예외지만 선과 악, 정의와 불의, 미덕과 패륜 같은 구분은 꿈속에서도 사라지지 않는다. 깨어 있는 동안 겪은 대..

2022.04.07

영화 <투 더 본>, 나 자신을 들여다볼 용기에 관하여

Netflix 영화를 봤다. 애청하고 있는 팟캐스트 '1사라'에서 폭토 식이장애를 앓고 있는 사연자에게 김pd님이 추천한 영화였다. 가수로 이미 유명한 릴리 콜린스가 여주인공 엘렌으로 나온다. 그녀는 갈비뼈와 척추뼈가 드러나 보일 정도로 말랐다. 또한 윗팔뚝이 자신의 손가락으로 둘러지는지를 하루에도 몇 번씩 재며 본인이 말랐는지 뚱뚱한지에 대해 집착한다. 거식증으로 이미 입원 치료도 여러 차례 받았지만 증세는 점점 심해지고 있었다. 엘렌의 친부는 일이 바쁘다는 이유로 영화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도 (심지어 가족 상담이 있을 때 조차!) 등장하지 않는다. 그녀의 부모님은 친엄마가 레즈비언으로 커밍아웃하면서 이혼했고 새어머니와 새 여동생과 살고 있다. 새어머니는 엘렌을 치료하기 위해 여러가지로 노력하다 식이..

미디어/영화 2022.03.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