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각 2

<어른의 감정수업>, 인현진

프롤로그 _ 자기 마음도 모르는 채 어른이 된 당신에게 우리가 비록 자동반응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해도,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런 건 아닙니다. 어른으로 독립하기, 과거의 상처, 의사소통, 자기표현 등 살아오는 동안 경험한 일과 성장환경 등에 따라 자동반응을 하는 영역도 다릅니다. 그리고 이 부분은 우리가 삶의 주제로 살아가기 위해 성장해야 하는 심리적 이슈이기도 합니다. 의식적으로 ‘선택’하기보다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영역이 많아지면, 삶의 주인으로 살아가지 못하고 책임져야 하는 일을 회피하게 됩니다. 자기 생각과 감정, 행동의 주인으로 살아가지 못하고 습관적으로 끌려가지요.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타인을 원망하고, 노력보다 능력 탓으로 돌리며, 현재의 영감으로 살아가기보다 과거의 기억에 사로잡힙니..

책/심리학 2023.07.06

<마음도 운동이 필요해> 왈이의 마음 단련장

(243) 왜 내 마음이 내 마음 같지 않지? “야, 진짜 내 몸이 내 몸 같지 않다니까.” 이 표현에 무릎을 탁 쳤어요. 내 몸을 건강하게 만들려면 ‘내 몸≠나’라는 깨달음이 있어야 하는 거였어요. 내 몸이지만, 소유물이 아니라 내 친구처럼, 내 강아지처럼, 내 가족처럼 돌봐야 하는 거였어요. 말하자면 내 몸을 함부로 사용한 대가를 톡톡히 치렀고, 내 몸이 내가 아니라는 걸 깨닫고 나면 운동으로 몸을 공부하고 관리하게 되는 거죠. 내가 내 몸을 모르는 걸 인정했으니까요. 그런데 사실 마음도 몸과 마찬가지입니다. 몸처럼 내 마음도 공부하고 관리해야 하죠. 그러기 위해선 몸과 마찬가지로 ‘내 마음≠나’라는 깨달음이 있어야 해요. 다만 마음은 이 과정이 좀 더 길고 까다롭습니다. 그게 무슨 말이냐고요? “내..

책/심리학 2022.07.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