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인심리학 2

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 변지영

머리말 _ 100년이 지난 지금, 왜 아들러인가? 6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핵심 개념인 ‘무의식’에 대해 정면 도전하면서 “성격 형성에 있어 중요한 것은 무의식이 아니라 우리가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사회현상”이라고 주장했다. 아마도 그가 이렇게 ‘의식’의 차원만을 다뤘기 때문에 ‘개인 무의식’의 개념을 정립한 프로이트와 ‘집단 무의식’의 개념을 추가해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한 칼 융에 비해 아들러의 연구가 심리학계에서 그다지 높게 평가받지 못하는 것 같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같은 이유로 미국에서는 그의 논리가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자유의지는 없다”고 단정했던 프로이트의 결정론적 인과론이 아니라 자유론적 목적론의 시각을 내세웠던 아들러는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 것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라고 주장했으며 ‘목..

책/심리학 2023.03.17

<만화로 읽는 아들러 심리학 1,2,3권>, 이와이 도시노리

평소에 비관주의적, 부정적인 사고를 많이 하는 나로써는 이미 몇해 전 베스트셀러였던 부터 시작해서 아들러 심리학에 관심이 많았다. 그의 주장의 최종 목적지가 다소 추상적인 면이 있고, 결국 그의 학문을 현실에서 실천을 해야 나의 가치관도 달라진다는 점에서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으려고 읽게 된 3권 시리즈였다. 첫 1,2권은 아들러 심리학의 이론과 실천편, 3권은 인간관계에 대한 내용이었다. 확실히 만화로 읽으니 서사가 부여되어 있어서 가볍게 읽히기도 하고 피부로 더 와닿았다. 1권 자신에게 용기를 부여하는 세 가지 열쇠 (1) 지나치게 높은 목표의 설정, (2) 달성할 수 없는 부분을 지적, (3) 인격의 부정 이외에도 우리 주변에는 '용기를 꺾는 압력'이 너무나도 많다. 이럴 때 부정적인 상황에 빠지지..

책/심리학 2022.03.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