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희생자 2

<섹슈얼 트라우마>, 정국

(0~598) 제1장 인간 드라마 The Human Drama 성적 트라우마는 질병이 아니다 부단한 노력 끝에 교육의 기회와 안정적인 직업을 얻거나 생명의 은인을 만남으로써 새로운 삶의 방향을 찾았을 때조차, 역경은 그들을 쉽게 놓아주지 않는다. 인간에 대한 신뢰와 친밀감이 철저하게 깨져버린 상태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게 쉽지 않은 까닭이다. 적지 않은 경우 그들은 싸우고 상처받고 애원하길 반복하며, 폭식증과 거식증에 시달리거나, 절도와 방화, 불륜과 도주를 저지르기도 한다. 자살이나 타살의 충동에 휩쌍니 채 이혼과 자녀 문제, 실직, 고립과 소외로 이어지는 혼란스러운 삶이 지속된다. 자서전을 쓰거나, 치유 모임에 가입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구하는 등 삶을 회복하기 위해 몸부림치지만,..

책/심리학 2022.06.06

<반복의 심리학>, 데니스 홀리

반복의 심리학 프롤로그 _ 그만두고 싶은데 그만두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1장. 나에게 다가가기 위한 질문들 왜 나는 잘못을 계속 반복했을까 타플리 롱은 내게 ‘반복강박’이란 용어는 정신분석학의 아버지인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처음 만들었으며, 환자들이 고통스러운 행동이나 감정을 계속 호소하면서도 여전히 똑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걸 보고 만든 용어라고 했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인간은 어린 시절 경험했던 감정, 갈등, 인간관계를 어른이 된 다음에도 똑같은 역학으로 재창조한다고 덧붙였다. (17) 에서 프로이트는 인간 행동의 동기라 여겼던 세 가지 핵심 원칙들, 즉 쾌락 원칙, 현실성 원칙, 반복강박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그는 인간 행동은 대개 이 세 가지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프로이트는 쾌락을 추..

책/심리학 2022.05.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