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방 2

<오늘부터 내 몸의 이야기를 듣기로 했어>, 하리타

(382) 1부. 생존자의 내면세계 대개 여성을 향하는 성차별과 성폭력이 일상적인 사회에서 ‘길들여진 반응은 닭이자 달걀이다.’ 길들여진 반응이 사회를 문제없이 흘러가도록 하고, 그렇게 비판과 성찰 없이 굴러가는 사회에서 길들여진 반응은 자연스러운 행동 양식으로 통용된다. (34) (매춘부, 엄마, 의사 등 직업과 지위를 막론하고) 여성=불운하고 약하며 갖은 위험과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피해자이자 희생자. 남성=돈, 권력, 속임수, 근육, 학식, 인맥 등 어떤 식으로든 ‘힘’을 행사하며 상황을 주도하는 주인공, 영웅, 악당 혹은 가해자. 미디어 소비자인 우리에게 머릿속에서 이 메시지가 수없이 반복되고 있다. 수많은 영상물을 보며 우리의 사고는 자각하지 못한 새에 ‘세상은 원래 저렇다’는 믿음을 굳혔다. (..

책/페미니즘 2022.02.17

<우리 속에 숨어 있는 힘>,미리암 그린스팬

1부. 아버지가 가장 잘 안다 : 전통적인 심리 상담의 실패 1장. 전통 이론에 대한 소개 1. 무엇이 문제인가? - 심리 상담을 몇 년씩 받아도 여전히 상실감과 무력감을 느끼는 수백만 여성들이 있다. 자신의 문제가 어린 시절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 등 자신의 문제에 대해 보다 폭넓은 이해를 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문제가 해결된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과거 어느 때보다 더 문제는 바로 자신이라는 확신감을 갖게 된다. 가시적인 어떤 치료책도 없이 ‘남성 전문가’의 덫에 걸린 ‘여성 환자’가 되어 버린다. 그러나 자기 자신이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전통적 심리 상담은 환자의 개인사를 탐구한다. 그러나 문제의 진정한 근원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성..

책/페미니즘 2022.01.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