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미 2

<삶으로서의 일>, 모르텐 알베크

(221쪽) 서장: 왜 우리는 행복하지 않을까 만족, 행복, 의미의 차이 만족이란 욕구의 충족. 내 욕구가 충족되면 나는 만족한다. 기대하는 것이 있는데 그 기대가 실현되면 만족감이 든다. (ex. 사과를 원하는데 사과를 손에 넣으면 만족) 경영진들은 다양한 복지 혜택으로 직원들을 만족시켜 출근을 좀 더 견디기 쉽게 만들어줄 수는 있겠지만, 그로 인해 삶에 기쁨이 주입된다고 주장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만족은 그런대로 괜찮은 출발점이 될 수는 있지만, 주로 만족에만 기초해서 삶을 살려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행복은 순간적으로 모든 것이 아름답게 맞아 들어가는 경험이다. 그러나 이 지극한 기쁨은 금방 사라질 절정이다. 행복이라는 경험은 일상이나 단조로움과는 정반대의 것이기 때문에 늘 행복하다는 것은 불..

책/자기 계발 2022.03.19

<나는 왜 나를 가짜라고 생각할까?>, 산디 만

총 250p 1장. 사기꾼 증후군이란? ‘사기꾼 증후군’ 또는 ‘사기꾼 현상’은 1978년 임상심리학자 폴린 R. 클랜스와 수잰 A. 임스가 이라는 논문에 처음 사용한 용어. 저자는 이 질환을 일부 성취도 높은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 ‘자신이 지적 사기를 치고 있다는 내적 경험’으로 묘사했다. 두 학자는 논문의 표본 집단(여성 150명)을 이렇게 설명함 “ 정당하게 얻은 학위, 학업 성과, 높은 시험 성적, 동료들과 그 방면 권위자들에게 인정받은 업무 능력에도 불구하고 (...) 내적 성취감을 느끼지 못한다. 이들은 스스로를 ‘사기꾼’이라고 여긴다” 두 학자에 따르면 이 여성들은 자신이 단지 선발 과정상의 착오나 남들의 과대평가 같은 외부 요인이 개입해 성공했다고 믿는다. 사기꾼 증후군을 정의하는 특징 ..

책/심리학 2022.01.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