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코올중독 3

<드링킹>, 캐롤라인 냅

(380) 1부. 유혹 사랑Love 가면Mask 운명Destiny 갈망Hunger 2부. 혼술 술의 방정식 The Liquid Equation 알코올은 우리에게 보호막을 둘러쳐서 자기 발견의 고통이 다가오는 것을 막아준다. 그 보호막은 극도의 안온감을 주지만 극도로 교활한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완전한 허상이기 때문이다. 완전한 허상이면서도 진정한 실체처럼 간절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비극은 그 보호막이 작용을 멈추면서 시작한다. 변신의 수확은 바뀐다. 이것은 불가피한 결말이다. 장기간에 걸친 과음은 우리 인생을 망가뜨린다. 다른 사람들, 그리고 자신과 맺은 관계가 뒤틀리기 시작한다. 업무에 장애가 발생한다. 재정 문제, 법적 문제에 부딪히거나 경찰과 부딪힐 수도 있다. 고통이 커지면 어느 순간..

책/심리학 2022.08.25

<반복의 심리학>, 데니스 홀리

반복의 심리학 프롤로그 _ 그만두고 싶은데 그만두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1장. 나에게 다가가기 위한 질문들 왜 나는 잘못을 계속 반복했을까 타플리 롱은 내게 ‘반복강박’이란 용어는 정신분석학의 아버지인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처음 만들었으며, 환자들이 고통스러운 행동이나 감정을 계속 호소하면서도 여전히 똑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걸 보고 만든 용어라고 했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인간은 어린 시절 경험했던 감정, 갈등, 인간관계를 어른이 된 다음에도 똑같은 역학으로 재창조한다고 덧붙였다. (17) 에서 프로이트는 인간 행동의 동기라 여겼던 세 가지 핵심 원칙들, 즉 쾌락 원칙, 현실성 원칙, 반복강박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그는 인간 행동은 대개 이 세 가지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프로이트는 쾌락을 추..

책/심리학 2022.05.24

<공동의존자 더 이상은 없다> _ 멜로디 비에티(Melody Beattie)

제1부┃공동의존이란 무엇인가, 누가 공동의존자인가 01 제시카 이야기 왜 나는 남편을 떠나지도, 이혼하지도 못했을까? 죄책감, 두려움, 결단력 부족, 우유부단함 때문이었다. 게다가 전에 나는 남편을 떠난 적이 있었다. 그 시기에 내가 고작 했던 일이라고는 우울한 날들을 보내며 남편을 생각하고 재정문제를 걱정한 것뿐이었다. (41) 02 다른 이야기들 그럼에도 공동의존 상황을 드러내는 모든 이야기 속에는 그것들을 관통해 내는 한 가지 공통된 흐름이 있다. 그것은 주변 사람에게 어떻게 대응하고 그들의 행동과 생각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그것은 주변 사람, 즉 그들이 알코올중독자든, 도박중독자든, 성중독자든, 폭식하는 사람이든, 정상적인 사람이든 누구를 막론하고 그들과 어떻게 관계 설정..

책/심리학 2022.05.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