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용 3

<받아들임>, 타라 브랙

1. “나는 세상에 존재할 가치가 없다” 불안을 오히려 강화하는 우리의 습관적 전략들 : 우리는 무가치함이라는 원초적 고통을 피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한다. 자신의 결함이 자신이나 남에게 노출될 때마다, 우리는 추방당한 아담과 이브처럼 벌거벗은 몸뚱이를 가리려고 초조하게 반응한다. 우리 각자는 결점을 감추고 우리에게 있다고 믿는 잘못을 벌충하기 위한 특별한 전략들의 조합을 개발하는 데 많은 시간을 들이고 있다. 끊임없이 자기개선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우리는 완벽한 몸과 용모에 대한 대중매체의 기준을 만족시키려고 흰머리를 염색하고, 주름을 제거하고, 끊임없이 다이어트를 시도한다. 직장에서는 더 좋은 직위를 얻기 위해 자신을 밀어붙인다. 훈련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명상을 하고, 목록을 작성하고..

책/철학 2022.11.07

<나만 모른다, 내가 잘하고 있다는걸>, 슈테파니 슈탈

나만 모른다, 내가 잘하고 있다는걸 (300) 프롤로그 :‘불안’ 행성에 사는 당신에게 심리학이 건네는 말 1. 작은 실마리부터 들여다보기 “제발 자신 있게 살고 싶어요” 자존감 낮은 사람이 자주 듣는 말 “좀 더 자신 있게 살고 싶어요!” 살면서 이 생각을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사실 이런 상황에서 막상 느껴지는 것은 ‘낮은 자존감’ 자체가 아니라 그로 인해 생겨나는 감정들이다. 가장 대표적인 감정이 바로 불안과 수치심이다. 불안과 수치심 역시 몸으로 드러난다. 여기저기 근질근질하고, 심장박동은 급격히 빨라지며, 위나 가슴께가 묵직하게 아프다. 이런 증상은 우리가 스스로를 신뢰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가치를 충분히 느끼지 못한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그런 상태에서는 슬픔, 실망, 무력감..

책/심리학 2022.06.21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허지원

(212) 1부 노력하되, 애쓰지 말 것 Episode 1. 가면을 쓰고 사는 데 지쳤어요 - 낮은 자존감 높은 자존감이라는 허상 자존감self-esteem이 낮아지는 요인들은 도처에 산재해 있고, 이것은 우리 뇌에 오래도록 상흔을 남깁니다. 주요하게 나타나는 현상은 다양한 뇌 영역의 회백질grey matter 부피 감소입니다. 회백질은 신경세포가 모여 있으며 육안으로 관찰할 때 회색빛을 띠는 부분으로서 정서, 주의 기억, 문제 해결과 같은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기에, 여러 정신건강 연구는 회백질의 부피 변화를 중요한 임상증상으로 제시합니다. 다만 회백질 부피 감소는 비교적 일관된 결과지만, 드러나는 문제는 다소 복잡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낮아진 자존감, 낮아진 성취욕구로 우울증과 같은 기분장애, 강박장애..

책/심리학 2022.06.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