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공 2

<정체성 수업>, 로버트 프리츠&웨인 스콧 엔더슨

1장 정체성 결국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전략은 두 가지다. 하나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실제로 해낼 수 있는 능력, 수용력, 경험을 계발하는 것이다. 믿음 대 능력을 비교해 보면 거의 언제나 능력이 승리한다. 그도 그럴 것이 능력은 허구나 신념, 확신이 아닌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믿음과 능력은 별개로 존재하며,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모든 경우의 쌍은 다음과 같다. 긍정적 신념 - 높은 능력 부정적 신념 - 높은 능력 부정적 신념 - 낮은 능력 긍정적 신념 - 낮은 능력 이 중 마지막 카테고리는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연구 덕분에 유명해졌다. 자신의 능력을 좋게 평가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이 충분히 계발되어 있지 않다고 ..

책/자기 계발 2023.12.12

<나는 왜 나를 가짜라고 생각할까?>, 산디 만

총 250p 1장. 사기꾼 증후군이란? ‘사기꾼 증후군’ 또는 ‘사기꾼 현상’은 1978년 임상심리학자 폴린 R. 클랜스와 수잰 A. 임스가 이라는 논문에 처음 사용한 용어. 저자는 이 질환을 일부 성취도 높은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 ‘자신이 지적 사기를 치고 있다는 내적 경험’으로 묘사했다. 두 학자는 논문의 표본 집단(여성 150명)을 이렇게 설명함 “ 정당하게 얻은 학위, 학업 성과, 높은 시험 성적, 동료들과 그 방면 권위자들에게 인정받은 업무 능력에도 불구하고 (...) 내적 성취감을 느끼지 못한다. 이들은 스스로를 ‘사기꾼’이라고 여긴다” 두 학자에 따르면 이 여성들은 자신이 단지 선발 과정상의 착오나 남들의 과대평가 같은 외부 요인이 개입해 성공했다고 믿는다. 사기꾼 증후군을 정의하는 특징 ..

책/심리학 2022.01.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