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2

<다다다> 보다 읽다 말하다 김영하 인사이트 3부작

보다 읽다 말하다 김영하 인사이트 3부작 보다 1부 부와 가난 시간 도둑 진짜 부자는 소유하지 않는다 자유 아닌 자유 머리칸과 꼬리칸 숙련 노동자 미스 김 부자 아빠의 죽음 여행을 싫어한다고 말할 용기 2부 삶과 죽음 나쁜 부모 사랑하기 어차피 죽을 인생을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이유 우울증 환자들은 인간이 혼자라는 것, 죽을 수밖에 없는 가련한 운명이라는 것을 냉철하게 직시한다는 점에서 극단적으로 현실적이다. ‘혼자 죽는’ 고통을 미리 맛보고 있는 그들에게는 삶이 이미 죽음이고 죽음이 곧 삶이다. 다른 사람들과 달리 그들은 죽음으로 이 절대고독을 끝장내고자 한다. 에피쿠로스가 죽음의 무의미성이라는 계단을 통해 고귀한 쾌락의 세계로 들어갔다면, 우울증 환자들은 삶의 무의미와 고통이라는 다이빙대에서 죽음의 ..

책/에세이 2023.08.24

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 변지영

머리말 _ 100년이 지난 지금, 왜 아들러인가? 6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핵심 개념인 ‘무의식’에 대해 정면 도전하면서 “성격 형성에 있어 중요한 것은 무의식이 아니라 우리가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사회현상”이라고 주장했다. 아마도 그가 이렇게 ‘의식’의 차원만을 다뤘기 때문에 ‘개인 무의식’의 개념을 정립한 프로이트와 ‘집단 무의식’의 개념을 추가해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한 칼 융에 비해 아들러의 연구가 심리학계에서 그다지 높게 평가받지 못하는 것 같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같은 이유로 미국에서는 그의 논리가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자유의지는 없다”고 단정했던 프로이트의 결정론적 인과론이 아니라 자유론적 목적론의 시각을 내세웠던 아들러는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 것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라고 주장했으며 ‘목..

책/심리학 2023.03.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