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면아이 2

<언니들의 마음공부: 부모 편부모에게 받은 상처에서 벗어나 생의 주도권을 되찾기 위한>, 오소

워밍업_사례에 들어가기 전 먼저 꺼내보는 질문들 부모에게 받은 상처를 말하기, 불편하지만 꼭 필요한 일 ‘사랑’ 대신 ‘지성’을 받은 아이들 감정과 감각을 새로 배워야 하는 이유 우리는 ‘나’ 이상으로 아이를 양육할 수 없다 치유의 3단계 매뉴얼 1단계. 대면과 이해 2단계. 위로와 긍정 3단계. 퉁치기와 경계설정 먼저 1단계 ‘대면과 이해’ 대면은, 글쓴이가 정말로 자신을 가장 무겁게 짓누르는 바위에 대해 썼는가를 보는 거야. 예를 들어 ‘내내 엄마와의 관계가 힘들었다’는 참가자가 막상 상처를 들여다보려니 겁이 나서 진로나 육아문제에 대해 써오는 경우가 있어. 그래선 안 돼. 상처를 회피하지 않고 담대히 맞서기, 이것은 치유의 필수적인 시작이야. 엉뚱한 부위에 약을 바를 수는 없겠지? 나는 이 단계를 ..

책/페미니즘 2023.04.04

<나만 모른다, 내가 잘하고 있다는걸>, 슈테파니 슈탈

나만 모른다, 내가 잘하고 있다는걸 (300) 프롤로그 :‘불안’ 행성에 사는 당신에게 심리학이 건네는 말 1. 작은 실마리부터 들여다보기 “제발 자신 있게 살고 싶어요” 자존감 낮은 사람이 자주 듣는 말 “좀 더 자신 있게 살고 싶어요!” 살면서 이 생각을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사실 이런 상황에서 막상 느껴지는 것은 ‘낮은 자존감’ 자체가 아니라 그로 인해 생겨나는 감정들이다. 가장 대표적인 감정이 바로 불안과 수치심이다. 불안과 수치심 역시 몸으로 드러난다. 여기저기 근질근질하고, 심장박동은 급격히 빨라지며, 위나 가슴께가 묵직하게 아프다. 이런 증상은 우리가 스스로를 신뢰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가치를 충분히 느끼지 못한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그런 상태에서는 슬픔, 실망, 무력감..

책/심리학 2022.06.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