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면 3

<당신의 여행에게 묻습니다>, 정지우

당신의 여행에게 묻습니다 245 1부 여행이란 무엇인가 1장 여행의 시작 : 왜 여행을 떠나고 싶을까 episode 베네치아에서 만난 사람들 도시와 일탈 도시는 우리에게 삶의 형식과 안전망을 제공한다. 그 속에서 우리는 삶의 모든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바로 그 완벽함 때문에 우리는 도시에서, 그 도시 속에 붙박인 우리의 현실에서 떠나고 싶어진다. 그 이유는 태곳적의 자유에 대한 갈망 때문인지도 모른다. 분명한 것은 인간이 언제ᅟᅡᆫ 배은망덕한 자유를 원해 왔으며 시대가 흐르고 세대가 바뀌어도 그 욕망은 달라지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인간은 모순적이게도, 변덕스럽게도, 용납하고 싶지 않게도 자유와 안락이라는 두 가지 삶의 방식을 모두 원한다. 인류는 그 두 가지를 모두 성취하기 위해 역사를 발전..

책/에세이 2022.08.19

<센서티브>, 일자 샌드

(233) 1장 남들보다 민감한 사람들 미국의 임상심리학자 일레인 아론(Elaine N. Aron)은 ‘타인보다 더 민감한 사람’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그녀는 타인보다 더 민감한 사람들 중 30%가 사회적으로 외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기 전까지만 해도 내향성과 민감함을 동일한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한다. (21) 남들보다 민감한 사람들은 뛰어난 감정 이입 능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을 때 깊이 공감할 수 있어서 남을 돌보는 직업을 선택하고 그 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는 경우가 많다. 민감한 사람들이 남을 돌보고 돕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면, 하루 일과가 끝날 때쯤 에너지가 완전히 고갈될 것이다. 민감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기분에 쉽게 영향을 받..

책/심리학 2022.02.07

<미괴오똑>, 하미나

프롤로그 인터뷰이들은 아픈 상태에서도 수천 번 자기 경험을 곱씹고 재해석하며 성장했다. 이들은 가정폭력 혹은 성폭력의 피해자이지만, 동시에 피해를 고발하고 뭔가를 바꿔보려 한 생존자들이다. 이야기에는 모순과 혼란이 있다. 진공 속 피해자가 아닌 살아 있는 인간이기에 그러하다. 1부. 나의 고통에도 이름이 있나요 1장. 엄살 호르몬은 여성의 건강을 설명할 때 거의 만능 열쇠처럼 이용된다. 호르몬만을 강조할수록 그 밖의 원인들은 탐구하기 어려워진다. 여성의 우울, 그 원인을 에스트로겐으로 한정하는 설명은 우울을 경험하는 여성의 구체적인 사회문화적 맥락을 지워버린다. 정신의학 교과서에서 남성의 우울은 여성의 우울과 달리 성호르몬보다는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설명된다. 남성의 몸이 표준이 될 때 아픈 것, 병리적인..

책/페미니즘 2022.01.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