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계 2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김준기

(320페이지) 들어가는 글 트라우마 같은 건 빨리 잊고 새출발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는 경향도 있는 것 같다. 하긴 단순하게 생각하면 트라우마를 다시 기억해봐야 골치만 아프고 근심 걱정만 늘 테니 이미 지나간 일 그냥 잊고 사는 것이 상책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그래서인지 우 리는 트라우마에 대해 드러내놓고 이야기 하는 것을 꺼린다. 그러나 이러한 무관심과 외면은 트라우마의 재발을 막는 데도 도움이 안 될 뿐 아니라 트라우마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는 데는 오히려 더 방해가 될 뿐이다. (7) PART 1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1. 인간의 삶 속에 숨어 있는 덫, 트라우마 : 레인 오버 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크게 세 가지 주요 증상으로 나뉜다 : 과도한 각성 상태과 연관된 증상들, 충격적인 외상 ..

책/심리학 2022.04.25

<착한 딸 콤플렉스>, 하인즈 피터 로어

2부: 공주는 왜 거위 치는 소녀가 되었을까? (의존성 인격 장애의 모든 것) - 비판에 대한 과도한 공포 : 어떤 실수도 용납하지 않으면, 완벽한 외양을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쏟아 붓는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거야. - 희생자 정체성 의존성 인격 장애의 또 다른 전형적 특징으로, 보통 유아기부터 형성되는 ‘희생자 정체성’을 꼽을 수 있다. 많은 어린 아이들이 부모를 위해 희생을 한다.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생각할 독자가 많겠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렇지가 않다. 항상 몸이 안좋고 기분이 오락가락하고, 무슨 일이든 힘에 부쳐 끙끙대는 어머니를 보면 아이는 어머니를 구원해주고 싶다는 욕망을 느낀다. 부모에게 사랑받고 인정받고 싶은 것이 아이의 기본 욕구이기에 아이로서는 괴로워하는 부모를 두고 보기..

책/심리학 2022.03.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