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르시시스트 2

<공동의존자 더 이상은 없다> _ 멜로디 비에티(Melody Beattie)

제1부┃공동의존이란 무엇인가, 누가 공동의존자인가 01 제시카 이야기 왜 나는 남편을 떠나지도, 이혼하지도 못했을까? 죄책감, 두려움, 결단력 부족, 우유부단함 때문이었다. 게다가 전에 나는 남편을 떠난 적이 있었다. 그 시기에 내가 고작 했던 일이라고는 우울한 날들을 보내며 남편을 생각하고 재정문제를 걱정한 것뿐이었다. (41) 02 다른 이야기들 그럼에도 공동의존 상황을 드러내는 모든 이야기 속에는 그것들을 관통해 내는 한 가지 공통된 흐름이 있다. 그것은 주변 사람에게 어떻게 대응하고 그들의 행동과 생각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그것은 주변 사람, 즉 그들이 알코올중독자든, 도박중독자든, 성중독자든, 폭식하는 사람이든, 정상적인 사람이든 누구를 막론하고 그들과 어떻게 관계 설정..

책/심리학 2022.05.13

영화 <크루엘라>

101한마리 달마시안의 '크루엘라 드 빌'로 나오는 빌런에 대한 재해석을 담은 디즈니 영화 를 봤다. 작년 개봉 영화로 개봉당시에도 큰 인기가 있었는데 이제야 봄. 엠마 스톤과 엠마 톰슨의 연기가 대단히 뛰어났다. 나르시시스트 엄마를 뛰어넘는 딸의 이야기로도 보이고,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에 대한 변주로도 읽히고, 1세대 페미를 넘어서려는 영페미로도 볼 수 있겠고, 엠마 스톤과 엠마 왓슨 그리고 엠마 스톤의 조력자들까지 모두 한 인물 안에 있는 여러 가지 자아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디즈니 영화에 대해서 유치하다고만 생각하고 있었던 나의 편견을 와장창 깨부순 영화였다. 소재 탓에 영화 랑도 많이 비슷하게 보였다. 결국,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홀로 가지 말고 연대해야 한다는 큰 메세지로 읽히는..

미디어/영화 2022.02.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