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객관 2

<한의원의 인류학>, 김태우

1장 몸에 관한 진실은 하나가 아니다 01 인류학자, 병원과 한의원에 가다 병원, 지시의 나라 · 인류학, 어떤 여행의 기록 · 한의원으로의 여행이 시작될 때 02 동아시아의 몸, 서양의 몸 의학서의 두 그림으로부터 · 호모 메디쿠스와 의료에 관한 인류학 · 다차원의 몸, 하나가 아닌 의료 2장 진단, 몸을 알다 01 첫 대면, 진료실 왜 진단을 이야기하는가 · 진료실 풍경 02 대상 고정하기와 흐름 읽기 서양의학의 확실한 대상들 근현대 서양의학의 역사에서, 특히 이 책의 논의를 위해 강조해야 할 부분은, 19세기부터 지금의 유전자의학에 이르기까지 서양의학의 눈부신 변화의 와중에서도 변함없이 면면히 흐르고 있는 테마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확실한 의학적 대상의 확보라는 근본적인 방향성이다. 이를 ..

책/한의학 2023.01.11

<나는 왜 나를 가짜라고 생각할까?>, 산디 만

총 250p 1장. 사기꾼 증후군이란? ‘사기꾼 증후군’ 또는 ‘사기꾼 현상’은 1978년 임상심리학자 폴린 R. 클랜스와 수잰 A. 임스가 이라는 논문에 처음 사용한 용어. 저자는 이 질환을 일부 성취도 높은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 ‘자신이 지적 사기를 치고 있다는 내적 경험’으로 묘사했다. 두 학자는 논문의 표본 집단(여성 150명)을 이렇게 설명함 “ 정당하게 얻은 학위, 학업 성과, 높은 시험 성적, 동료들과 그 방면 권위자들에게 인정받은 업무 능력에도 불구하고 (...) 내적 성취감을 느끼지 못한다. 이들은 스스로를 ‘사기꾼’이라고 여긴다” 두 학자에 따르면 이 여성들은 자신이 단지 선발 과정상의 착오나 남들의 과대평가 같은 외부 요인이 개입해 성공했다고 믿는다. 사기꾼 증후군을 정의하는 특징 ..

책/심리학 2022.01.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