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점 2

<매우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상담소>, 전홍진

프롤로그 예민한 사람을 위한 연구 매우 예민한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1부 불안편 “걱정이 꼬리에 꼬리를 물어 잠이 안 와요” 예민한 영미씨와 꼼꼼한 정식씨는 함께 살 수 있을까요 성질 급한 그 상사만 보면 마음이 쪼그라들어요 타인과 눈을 못 맞추고 누가 보면 글씨를 못 쓰는 사람 자신도 모르게 생각에 빠져드는 사람 - 우울증이 심해지면 생각의 진행에도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이때 '생각 흐름의 왜곡'이나 '피해의식' 같은 것이 흔히 동반됨. '생각 흐름의 왜곡'은 자신이 보는 것, 듣는 것 등 외부의 지각을 자신이 몰두하는 쪽으로 연결 지어 생각하는 것. 예) 민지씨는 친구가 죽었다는 연락을 받고 '죽음'에 몰두한 이후에는 배가 아프거나 머리가 아플 때도 '죽으면 아프지 않을 텐데'하는 방향으로 생각..

책/심리학 2023.12.27

<나는 왜 나를 가짜라고 생각할까?>, 산디 만

총 250p 1장. 사기꾼 증후군이란? ‘사기꾼 증후군’ 또는 ‘사기꾼 현상’은 1978년 임상심리학자 폴린 R. 클랜스와 수잰 A. 임스가 이라는 논문에 처음 사용한 용어. 저자는 이 질환을 일부 성취도 높은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 ‘자신이 지적 사기를 치고 있다는 내적 경험’으로 묘사했다. 두 학자는 논문의 표본 집단(여성 150명)을 이렇게 설명함 “ 정당하게 얻은 학위, 학업 성과, 높은 시험 성적, 동료들과 그 방면 권위자들에게 인정받은 업무 능력에도 불구하고 (...) 내적 성취감을 느끼지 못한다. 이들은 스스로를 ‘사기꾼’이라고 여긴다” 두 학자에 따르면 이 여성들은 자신이 단지 선발 과정상의 착오나 남들의 과대평가 같은 외부 요인이 개입해 성공했다고 믿는다. 사기꾼 증후군을 정의하는 특징 ..

책/심리학 2022.01.29
반응형